다시 미세먼지의 계절이 돌아왔네요.
미세먼지가 상대적으로 적고, 몸도 항상 Warm up되있어 운동하기 좋고 푸르른 여름을 덥지만 좋아하는데요. 겨울은 추운데다 먼지가 너무 심해서 선호하는 계절이 아니네요. 몸도 찬 상태라 다치기도 쉽구요.
한국/WHO 미세먼지 기준이 궁금해서 찾아봤어요!
WHO기준으로 하면 우리나라는 거의 매일 미세먼지 초과이고 나쁜 수준일 것 같아요.
가까운 일본의 좀 큰 편의점 수준에서도 마스크 코너가 한가득인데, 미세먼지가 훨씬 심한 우리가 좀 더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. 저만 해도 웬만하면 그냥 다니게 되거든요. 마스크가 답답하다 보니.
<한국/WHO 미세먼지 기준표>
|
PM2.5
|
PM10
|
구분
|
연평균
|
24시간평균
|
연평균
|
24시간평균
|
WHO(세계보건기구)
|
10
|
25
|
20
|
50
|
한국(환경부)
|
25
|
50
|
50
|
100 |
초미세먼지라 불리는 PM2.5 연평균 기준으로 한국은 25, WHO는 10 이하로 권고하고 있네요.
WHO가 과하게 권고치를 낮춘게 아니라, 아시아/중동/아프리카 일부 지역을 제외한 국가들의 대부분이 미세먼지가 높지 않아서 저런 권고치가 나온 것 같아요. 아래 지도로 확인 가능해요.
<세계 미세먼지 지도. WHO기준>

동북아/인도/중동/북아프리카 쪽이 엄청 빨간색이 많아 보이네요 ㅠ. 미주/러시아/북유럽/호주 쪽은 깨끗한 녹색이구요. 서유럽/중남미 일부는 노랑, 동유럽/남아프리카/중남미 일부 쪽은 주황이 많네요.
<세계 미세먼지 지도. 동북아 확대. WHO기준>

동북아만 확대하면 이건 뭐, 중국이 워낙 검붉어서 한국이 오히려 착시로 약해 보일 정도지만 이건 연평균이고, 실제 심한 날은 우리도 만만치 않은 것 같아요.
<세계 도시별 미세먼지 지도. WHO기준>

도시별로 보아도 국가별로 본 것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이네요
우리 나라의 지역별로도 한번 볼까요?
<한국 지역별 미세먼지 수치. WHO Raw data자료에서 2014년 연평균 수치를 발췌>
|
PM2.5
|
PM10
|
|
City/Town
|
Annual mean, ug/m3
|
Annual mean, ug/m3
|
Year
|
Gyeonggi
| 28.4
| 54
|
2014
|
Chungbuk
| 27.4
| 52
|
2014
|
Gangwon
| 26.9
| 51
|
2014
|
Jeonbuk
| 26.9
| 51
|
2014
|
Gyeongbuk
| 25.8
| 49
|
2014
|
Incheon
| 25.8
| 49
|
2014
|
Busan
| 25.3
| 48
|
2014
|
Gyeongnam
| 25.3
| 48
|
2014
|
Jeju
| 24.8
| 47
|
2014
|
Seoul
| 24.2
| 46
|
2014
|
Ulsan
| 24.2
| 46
|
2014
|
Daegu
| 23.7
| 45
|
2014
|
Chungnam
| 22.1
| 42
|
2014
|
Daejeon
| 21.6
| 41
|
2014
|
Gwangju
| 21.6
| 41
|
2014
|
Jeonnam
| 20.0
| 38
|
2014 |
대도시가 꼭 더 높은건 아니네요?
각종 매연, 소음 등으로 인해 대도시의 미세먼지가 높게 느껴지지 않나 싶네요.
실제로는 아무래도 바람의 방향상 전남/광주/대전/충남 지역이 그나마 좀 낮은 편이고,
경기/충북/강원/전북/경북/인천/부산/경남/제주/서울/울산/대구의 순으로 높은 편이군요.
제주도도 만만치 않네요.
지역 내에서도 어느 측정소이냐에 따라 사실 차이가 클 것입니다.
이건 아마도 지역 전체의 평균치일 테니깐요.
여튼 연평균 수치가 20~28.4 정도로 분포하고 있네요.
이제 맞춰 환경부도 한국 권고치를 25로 현실적으로 잡아놓은 것 같네요.
연평균이 저런거고 사실 미세먼지가 심한 날만을 따지면 훨씬 높아질 것 같네요.